본문 바로가기
벌금ㅣ과태료ㅣ처벌

음주운전 처벌 기준 및 운전면허 정지·취소 요건 정리

by 로다임 2025. 2. 5.

음주운전은 도로교통법상 중대한 범죄 행위로, 혈중알코올농도 기준에 따라 면허 정지, 면허 취소, 벌금 및 징역형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형사처벌이 강화되며, 재범자의 경우 더욱 엄격한 제재가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음주운전 관련 법규 및 처벌 기준, 운전면허 정지·취소 요건, 재취득 제한 규정 등을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음주운전

음주운전으로 인한 운전면허 정지 및 취소 기준

1. 운전면허 취소 요건

다음과 같은 경우, 운전면허가 취소됩니다.

  • 혈중알코올농도 0.08% 이상인 경우
  •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상태에서 운전 중 교통사고를 일으켜 사람을 사망 또는 부상하게 한 경우
  • 음주운전 단속에 불응한 경우
  •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이력이 있는 사람이 다시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 약물(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환각물질 등)로 인해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 운전면허가 취소되면 일정 기간 동안 운전면허를 재취득할 수 없습니다.

2. 운전면허 정지 요건

  •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08% 미만인 경우 → 운전면허 정지 (1년 이내)
  • 벌점 100점 부과

📌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이라면 음주운전으로 간주되며, 면허 정지 또는 취소 처분을 받게 됩니다.

 

음주운전 재범바 및 사고 발생 시 운전면허 재취득 제한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후 5년 이내에 다시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경우
→ 음주운전 방지장치 부착 조건부 운전면허를 받아야 함

 

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후 도주 및 미조치(뺑소니) 시
→ 집행유예를 포함한 벌금 이상의 형을 받으면 5년 동안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없음

 

📌 단, 벌금 미만의 형을 선고받거나 기소유예·보호처분 등을 받은 경우에는 5년 내라도 운전면허 재취득 가능

 

음주운전 관련 형사 처벌 기준

음주운전 처벌은 혈중알코올농도 수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1. 일반 음주운전 형사 처벌

혈중알코올농도 처벌기준
0.03% 이상 0.08% 미만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0.08% 이상 0.2% 미만 1년 이상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0.2% 이상 2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혈중알코올농도가 0.03% 이상이라면 음주운전으로 간주되며, 처벌 대상이 됩니다.

 

2. 음주운전 재범자 처벌 강화

음주운전으로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10년 내에 다시 적발된 경우 더 강한 처벌이 적용됩니다.

  •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 → 2년 이상 6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0.2% 미만 →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한 경우 →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3. 음주운전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발생 시 처벌 강화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다치게 한 경우
→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사망하게 한 경우
→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

 

📌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 사고는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이 적용되며, 강력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음주운전 측정 거부 시 처벌

음주운전 단속 시 경찰의 음주 측정 요구를 거부하는 행위도 중대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 음주 측정 거부 시 →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음주운전 단속을 회피하기 위해 측정을 거부할 경우, 오히려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물(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복용 후 운전 시 처벌

약물(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로 인해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 운전면허 취소


약물 운전으로 적발된 경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알코올뿐만 아니라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환각물질 등을 복용한 후 운전하는 행위도 중대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음주운전 예방 및 안전 운전 수칙

✔️ 대리운전 또는 대중교통 이용하기
✔️ 음주 후 숙취가 완전히 사라진 후 운전하기
✔️ 음주운전 단속 기준(0.03%)을 숙지하고 절대 음주 후 운전하지 않기
✔️ 음주운전 방지 캠페인에 적극 참여하기

 

📌 음주운전은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단 한 번의 실수로 평생 후회할 일을 만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음주운전은 혈중알코올농도 0.03%부터 처벌 대상이며, 면허 정지·취소 및 징역·벌금형 등의 강력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음주운전 재범자의 경우 처벌 수위가 더욱 높아지며, 운전면허 재취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음주운전 측정을 거부할 경우 오히려 더 강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음주운전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경우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형이 선고될 수 있습니다.

 

📌 음주운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중대한 범죄 행위입니다. 안전한 교통 문화를 위해 모두가 주의해야 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