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기관

범죄피해자 지원기관 정보

by 로다임 2025. 1. 20.

범죄 피해 유형별 지원 기관 정보를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범죄 피해를 입으셨을 경우, 아래 기관들의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알림

 

범죄 피해, 혼자 힘들어하지 마세요. 다양한 지원 기관이 함께합니다.

 

갑작스러운 범죄 피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법률적인 문제로 막막하신가요? 걱정하지 마세요. 국가와 여러 기관에서 범죄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 가장 먼저, 경찰과 검찰: 범죄 발생 직후에는 경찰에 신고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경찰은 피해자 심리 전문 요원(CARE)과 피해자 전담 경찰관을 통해 초기 상담과 심리 안정, 권리 안내, 유관 기관 연계 등을 지원합니다. 검찰 역시 피해자 인권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며, 피해자 지원 담당관을 통해 상담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경찰: 112, 검찰: 1301, 1577-2584)
  • 종합적인 지원, 범죄피해자 지원센터: 법무부 산하의 비영리 법인인 범죄피해자 지원센터는 상담, 경제적 지원, 의료 지원, 법률 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전국에 지부를 두고 있어 가까운 곳에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577-1295, https://icvc.kcva.or.kr)
  • 법률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대한법률구조공단과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법률적인 도움을 받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대한법률구조공단과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서 무료 법률 상담과 소송 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한국가정법률상담소: 1644-7077, www.lawhome.or.kr)
  • 특정 유형의 범죄 피해자를 위한 전문 기관: 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노인 학대, 이주 여성 폭력, 자동차 사고 등 특정 유형의 범죄 피해자를 위한 전문 기관들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기관은 해당 유형의 피해자에게 특화된 상담, 법률 지원, 의료 지원, 쉼터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 청소년들을 위한 쉼터: 가정 밖 청소년들을 범죄와 비행으로부터 보호하고, 생활, 정서, 심리, 의료, 학업, 취업 등을 지원하는 청소년 쉼터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02-2100-6000)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다면,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범죄 피해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혼자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힘든 일입니다. 위에 안내해 드린 기관들은 피해자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어려움에 처했을 때는 언제든지 이러한 지원 기관들을 활용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범죄피해자지원기관

 

 

 

범죄 피해 유형별 지원 기관 안내

 

모든 유형의 범죄 피해자 지원 기관

  • 경찰: 범죄 발생 시 가장 먼저 접촉하는 기관으로, 피해자 심리 전문 요원(CARE) 및 피해자 전담 경찰관을 통해 초기 상담, 피해자 권리 안내, 유관 기관 연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문의: 각 경찰서 피해자 전담 경찰관, 국번 없이 112
  • 검찰: 피해자 인권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며, 형사 절차 정보 제공, 신변 보호, 피해자 형사 절차 참여 확대, 범죄 피해 구조금 지급, 민간 단체 연계 의료·법률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 문의: 가까운 검찰청 피해자 지원 담당관, 피해자 상담 전화 1301 (휴대전화: 지역번호+1301), 1577-2584
  • 범죄피해자 지원센터: 법무부 산하 비영리 법인으로, 상담, 경제적 지원, 의료 지원, 법률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전국 59개 지부를 두고 있습니다.
    • 문의: 전국 범죄피해자 지원센터 공통 전화 1577-1295, 통합 홈페이지: https://icvc.kcva.or.kr
  • 법무부: 범죄 피해자의 인권 보호 및 정상적인 사회 활동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물질적 피해 회복 지원, 심리적 치유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문의: 검찰청 피해자 지원실 1577-2584
  • 대한법률구조공단: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법을 잘 모르는 국민에게 법률 상담과 무료 소송 대리 등의 법률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문의: 국번 없이 132, 전국 지부·출장소·지소
  •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법률 상담과 무료 소송 대리 등의 법률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청소년쉼터: 가정 밖 청소년을 범죄 및 비행으로부터 보호하고, 생활 보호, 정서적 지지, 심리 상담, 의료 지원, 학업 복귀, 취업 지원 등 맞춤형 자립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문의: 02-2100-6000

 

특정 유형의 범죄 피해자 지원 기관

 

성폭력 피해자:

  • 한국성폭력위기센터: 성폭력, 데이트 폭력, 스토킹 피해자에 대한 무료 법률 지원 (변호사 수임료 지원 포함)
  • 성폭력상담소: 성폭력 예방, 피해자 상담, 의료 지원 등을 제공
  • 여성긴급전화 1366: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으로 긴급한 구조나 보호, 상담이 필요한 여성을 위한 24시간 전화 상담 및 긴급 보호, 관련 기관 연계 지원
  • 한국여성의전화: 여성 폭력 피해자 인권 보호 및 지원 활동, 전화 상담 및 타 기관 연계
  • 해바라기센터: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피해자에게 24시간 상담, 의료, 법률, 수사 등 원스톱 지원 (여성 경찰관 상주)
  • (사)한국여성변호사회: 스토킹 및 교제 폭력 등 신종 폭력 피해자에게 무료 법률 지원 (소송 대리 포함)
  • 안전 Dream 센터(아동·여성·장애인 경찰 지원 센터): 성폭력 피해 신고 접수 및 구호 활동 지원, 온라인 상담, 범죄 예방 콘텐츠 제공

가정폭력 피해자:

  •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 예방, 피해자 상담, 의료 지원 등을 제공
  • 여성긴급전화 1366: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24시간 전화 상담 및 긴급 보호, 관련 기관 연계 지원

학교폭력 피해자:

  • 학교폭력 SOS 지원단 (청소년 학교 폭력 예방 재단):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학생의 관계 회복, 심리·정서적 건강 회복 지원, 갈등 상황 발생 시 객관적 개입을 통한 갈등 극복 및 학교 복귀 지원
    • 문의: 1588-9128
  • 학교안전공제회: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신속한 구제를 위한 치료비 지원
  • 학교폭력 피해 학생 전담 지원 기관: 학교폭력 피해 학생 및 학부모 대상 상담, 치유, 교육 등 지원
    • 문의: 교육부 학교 생활 문화과 044-203-6847
  • 전국 학교폭력 상담 전화 (푸른나무 재단): 1588-9128
  • Wee 센터 (교육부): 학교, 교육청, 지역 사회 연계 통합 지원 서비스망, 위기 학생 및 상담 희망 학생 대상 진단, 상담, 치유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 학교폭력 긴급 전화: 국번 없이 117

노인 학대 피해자:

  • 노인보호전문기관: 학대받는 노인에게 일시 보호, 법률 지원, 전문 상담 등 서비스 제공
    • 문의: 노인 학대 신고 상담 전화 1577-1389

이주 여성 폭력 피해자:

  • 다누리 콜센터: 이주 여성 정착 단계 및 다문화 가족의 생애 주기별 맞춤형 종합 서비스 제공, 폭력 피해 이주 여성 상담 및 긴급 지원, 인권 보호 지원 (13개 언어 상담 제공)
    • 문의: 1577-1366

자동차 사고 피해자 (뺑소니, 무보험, 도난 차량 등):

  • 자동차 사고 피해자 지원 기관: 다른 수단으로 보상받을 수 없는 경우 정부가 책임 보험 지급 기준 한도 내에서 피해 보상, 사망자/중증 후유 장애인 유자녀 및 피부양 가족 생계 지원, 중증 후유 장애인 재활 지원
    • 문의: 보장 사업 안내 콜센터 1544-0049

이 외에도 다양한 기관에서 범죄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으니,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검찰청 피해자 지원실(1577-2584) 또는 범죄피해자 지원센터(1577-1295)에 문의하시면 여러 기관의 정보를 얻고 연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